본문 바로가기
스타트업일지/창업인큐베이팅스쿨 리뷰

Day2. Design Thinking - 1) Empathize

by 위대한디자인 GRTST 2020. 6. 9.

강사님은 리얼코딩 정원용 대표님

 

인간을 생각에 중심에 두고 인간에 대한 공감을 통해서

새로운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하여 혁신하는 사고방식과 툴들의 집합 - David M. Kelly (IDEO)

 

디자인씽킹은 시행착오 방법과 프로세스에 의한 사고의 조화

스탠포드 디자인스쿨의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Empathize 공감 (인터뷰, 쉐도잉, 이해, 판단하지 않기)

Define 정의 (페르소나, 역할 정의, 결정, 도전, 페인 포인트)

Ideate (아이디어 공유, 명료화)

Prototype (목업, 빨리 실패하기, 브랜드페이지 등)

Test

 

디자인은 공감능력, 즉 디자인하려는 대상에 대한 공감과 이해에서 출발한다.

그래서 자신의 입장보다는 고객의 입장을 먼저 생각하게 된다.

관리자처럼 생각하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올 수 없다. - 진 리드카, 팀 오길비 @디자인 씽킹, 경영을 바꾸다

 

1) 진행과정 :

탐색 준비하기발견하기 - 발견점 공유하기

 

* 설문조사보다 대면 인터뷰가 더 진짜 문제를 찾을 수 있음

- 디자인씽킹은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가진 내면의 니즈, 깊숙한 바램을 이해하는 것에서 시작

- 공감을 하는 방법은 직접 체험 및 관찰이 중요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인터뷰를 활용

- 인간 중심의 혁신 프로세스의 시작으로, 해결할 문제를 올바르게 정의하기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

- 나의 생각을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듣는 것이 중요

 

2) 탐색방법

현장조사 - 공유하기 - 심층인터뷰/경험관찰 - 조사목표 설정

 

- 현장조사 : 해당 정책 서비스가 제공되는 현장에서 관찰, 직접 체험, 약식 인터뷰 등의 방법을 통해 각양각색의 국민들이 지닌 공통적인 요구사항과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

- 경험관찰 : 조사대상자들의 행동과 경험을 관찰하여 문제가 발생되는 순간 포착

- 직접체험 : 팀원이 직접 체험을 통해 수요자의 관점에서 문제점 발견

- 심층 인터뷰 : 개인, 그룹, 전문가 대상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내재되어 있는 요구사항 포착

극단적인 사용자를 가상 고객으로 선정하라! - 핵심 중 핵심 고객을 만나 희망사항 도출

ex) 요구사항이 많고 까다롭다, 뼈 아픈 경험이 있다, Heavy User, 예산 등 자원이 부족하다

키워드중심 기록

 

사용자가 말로 표현하는 것 기저에 얻고자 하는 것, 행동양식, 놓여진 상황, 바라보는 관점이 깔려 있다.

그들이 원하는 것은 그 기저 속 생각

 

3) 사용자 리서치의 필요성

- 거시적이고 구조적 이해에 도움

- 개개인의 세밀하고 미시적인 동기나 이용행태 파악이 어려움

- 여러 리서치 결과들을 연결하고 분석하면 이전에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한다

- 내가 생각한 초기 문제는 실제 고객이 느끼는 문제가 아닐 수 있음을 인정해야

- 리서치 없이 디자인을 하게 되면 사용자들의 맥락이나 행동을 놓치고 가설만 가지고 짐작해야 사용자가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기능이나 정보를 회의실 판단만으로 결정지을 수 있다.

- 데이터는 모든 것을 말해주지 않는다. (?) 이 데이터는 한번 더 떨어져서 봐야함 - 객관적으로 다른 시각으로 다시 검증이 필요할 듯

 

4) 프로젝트 요약 문서

- 사용자 리서치에 들어가기 전 프로젝트 구성원들이 같은 방향성을 갖도록 함

- 문서에는 다음과 같은 항목들을 명기함

프로젝트 전체 또는 일부 기능을 한정 짓는 범위

제품의 목표

제품 타겟 목표

제품에 포함되어야 할 핵심 기능

제작 예산

제작 기간

기타 사항제품 이용을 위한 특정 조건 등

 

5) Stakeholder 인터뷰 (*프로젝트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이해관계자)

- C레벨의 의사결정자

- 인터뷰를 통해 문제의 해결책이나 세부 기능이 아닌 타겟 유저, 문제점, 프로젝트 목표 등에 집중

 

6) 경쟁사 분석

- 경쟁사별로 기능적 분석, 타겟 고객, 시장에서의 위치

- UI 디자인이나 기능 등을 상호 비교

- 무엇을 공통적으로 제공하는지 등을 분석하며 우선순위 파악 가능

- IR자료에서는 자사에 유리한 지표들이 들어감

 

7) 필드리서치

- 정성조사 : 개개인을 파악하는데 용이 (인터뷰조사(인터뷰 조사, 행동관찰조사)

- 정량조사 : 수치로 표현할 수 있는 현황 파악(설문조사, 구체적인 문제를 찾기 어려움)

 

8) 인터뷰

1) 사용자 리서치 플랜

- 프로젝트 주제와 목적에 맞는 방법론 선정하기

- 참여자 조건 선정하기

 

2) 리서치 대상자 선정

- 인구 통계학적 기준

- 제품에 대한 태도 및 이용 특징

- 사용자 컨텍스트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 참고 기사 https://ppss.kr/archives/42027)

- 이슈 토픽에 대한 상세 문항 설계 : 예비 고객으로부터 알아내야 하는 이슈 리스트 작성

ex)

1) 인테리어 관련 페인 포인트 이슈 토픽 설계

2) 인테리어 디자인 특화 서비스 이슈 토픽 설계

- 전문 설계 - 홈 데코레이팅 ) 이슈를 쭉 나열하고, 프로블럼 별 분류를 진행

 

9) 인터뷰 진행

-“?”라는 질문을 통해 인터뷰를 이어가고 깊이 있는 답변을 얻어내야 함 (육하원칙에 의거)

- 유도형 질문은 지양하기 (~한 기능이 문제라고 느끼신 적이 없나요?)

- 모호한 질문 피하기 (인테리어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 광범위한 질문 피하기 (인테리어를 왜 하세요? )

- 질문에서 더 깊은 질문으로 이어가기 (구체적으로 답변 유도)

- 대화하고 싶은 분위기 만들기

- 비언어적 표현 기록하기 (눈빛, 표정, 어조, 입꼬리 등 파악 / 본인 의사와 다르게 분위기 상으로 하는 답변인지 더 질문하기) 점수 척도로 표현해달라고 해도 좋을 듯

 

카드 소팅

Wizard of OZ : 완성도가 낮은 프로토타입을 테스트할 때 유용 (프리토타입)

 

10 ) 사용자 리서치를 통해 창업자가 생각한 제품에 대한 고객의 반응 얻기

- 고객의 반응을 서술 또는 단어로 기록

- 창업자의 가설이 고객에게 궁금하는 부분인지 확인할 것

- 고객들에게 같은 질문을 할 것

- 같은 질문에 여러 사람이 유사한 대답을 했다면, 그 또한 데이터화 할 것

- 다음 액티비티를 위해 데이터를 모으는 데에 집중할 것

 

오늘 대면 인터뷰 3명, 구글 폼을 통한 11명 응답 완료

내일은 이 모은 인터뷰를 데이터화 하는 날

댓글